논문 검색

항목 내 용
제목 [국문]

훈민정음과 가림토문자의 제자制字 및 체계體系에 관한 역易학적 분석 검토

Subject

A Brief Survey of Philosophical/Phonetic Studies on Hunminjeongeum and Garimto

저자 이익환
Author Lee, Ik-Hwan
발행년도 2021
초록 『훈민정음해례』는 『훈민정음』 에 음양오행의 역학易學 이치가 기본으로 깔려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있다. 자음 기본글자 다섯의 모양은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다른 자음들은 이 기본글자들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었다. 기본모음은 열한 개 인데, 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셋(·, ㅡ, ㅣ)은 천지인삼재天地人三才에 근거하여 만들었다. 그 셋을 근거로 하여 우선 초출 4모음(ㅗ,ㅏ,ㅜ,ㅓ)을 만들고, 다시 그 4모음과 사람(즉, ㅣ)이 작용하여 재출 4모음(ㅛ,ㅑ,ㅠ,ㅕ)을 만들어 낸다. 이 과정에 음양오행과 위수位數의 작용이 개입된다. 이러한 역학의 이론을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 『주역周易』의 기본이 되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주역과 팔괘, 및 하도상생河圖相生과 낙서상극洛書相克을 논의한다. 이들이 가림토문자加臨土文字와 『훈민정음』의 글자 및 그 배열 순서를 분석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보인다.
필자는 가림토문자가 『훈민정음』의 글자 모양을 결정하는 데 참고가 된 당시의 속용문자들 중 가장 중요한 문자였다고 추정하고, 당시 이 가림토문자의 존재를 알려주는 직간접적 증거들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단군조선 이전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녹도문자鹿圖文字와 가림토문자와 유사한 일본의 소위 신대문자神代文字도 그 정체를 검토하였다.

글자의 모양을 만드는 과정에 『훈민정음해례』 및 다른 자료에 언급된 ‘자방고전字倣古篆’이라는 표현에서 고전古篆이 어떤 문자를 말하는지 검토하였다. 여러 속용문자들 중 가림토문자가 『훈민정음』 의 글자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하게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래서 필자는 『훈민정음』 기본 5자음 제자원리를 다음과 같이 추정한다: (1) 일상 대화에서 들리는 소리(音)를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이용하여 그 소리에 대응되는 글자 모양의 ‘글자심상心象’을 형성한다. 이것이 추상적인 대상의 상형象形이다. 즉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마음에 추상적으로 그리는 그림이다.
이 과정이 문자 제자 역사에 없던 창의적인 방법이다. 그래서 ‘창제創制’라는 표현이 적절하다. (2) 그 소리 나는 모양을 상징象徵하는 글자는 기존의 속용문자俗用文字 중에서 택해 모양을 그대로 혹은 조금 변경해서 사용한다. 이 과정이 자방고전字倣古篆이다. 이 (1),(2)의 두 과정이 연속적 작업으로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여기 속용문자로는 가림토문자를 중요하게 이용한 것으로 본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훈민정음』의 자모 글자들이 가림토문자의 자모 글자들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음양오행의 이치로 양쪽 문자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림토문자와 『훈민정음』의 순서가 다른 것은 오행의 위치 변화가 위수位數의 변화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水와 화火의 위수 변화를 이용하기도 하고 금金과 화火가 오행위치를 바꾸는 금화교역金火交易의 이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훈민정음』과 가림토문자를 역학적易學的으로 검토하니 이 두 문자의 제자원리가 대부분 설명된다. 『훈민정음』과 가림토문자는 제자나 오행의 논리상 유사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방고전字倣古篆’이라는 표현에서 고전古篆은 가림토문자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훈민정음』이 초성 기본 5자음과 중성 기본모음 열한 글자들의 모양을 속용문자인 가림토문자를 중요하게 참고하였다고 하여도 『훈민정음』을 ‘창제했다’는 그 독창성에는 흠결이 되지 않는다. 이 작업은 창제 작업의 두 번째 단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은 다른 문자 발생 역사에서 없던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훈민정음』은 창의적으로 만들어진 문자이다. 모음도 기본 세 글자를 천지인삼재天地人三才의 정신으로 모음의 ‘글자심상’을 형성했다. 여기에 적합한 글자 모양을 하늘은 둥글게, 땅은 평평하게, 그리고 사람은 세우는 것으로 기획한 것이다. 이것 역시 창의적인 작업이다.
속용문자들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은 세종대왕 이전에 한자가 아닌 우리 배달민족의 얼이 담긴 고문자의 역사를 인정하는 것이 되며, 우리 고대 문자역사의 복원은 단군조선檀君朝鮮은 물론 환단시대桓檀時代의 전체 역사복원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일련의 작업은 당시 사용되고 있던 중국의 한자를 우리 민족의 얼이 담기는 문자로 바꾸어 국권을 선양하려는 애국정신과 백성들의 생활을 편하게 하려는 위민정신爲民精神에 투철했던 세종대왕의 독창적 발상에 의한 것이었다고 믿는다. 특히 청취한 소리에 대해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상형해서 글자심상을 형성해 자방고전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 낸 『훈민정음』은 정인지가 『훈민정음해례』 서문에 “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라고 밝힌 대로 ‘세종대왕이 창제한 문자’이다.
키워드 가림토문자, 글자심상, 금화교역, 낙서, 낙서상극, 음양오행, 자방고전, 조음방법, 조음위치, 창제, 하도, 하도상생, 훈민정음, 훈민정음해례
Abstract In both Hunminjeongeum and Hunminjeongeum Haeryebon, it is mentioned that the Korean alphabets were creat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Yin(陰)-Yang(陽) and Five-Elements of the universe. Each of the five basic consonants was modeled after its point and manner of articulation. Other consonants were created on the basis of these five consonants. The three basic vowels ·, ㅡ, ㅣ represent Heaven, Earth, and Humanity, respectively. Other vowels were produced by combining these three vowels in various ways.
In these processes the philosophy of Yin(陰)-Yang(陽) and Five-Elements, together with the Position numbers, take important roles. To show the effects of this philosophy, I discuss the background notions such as Hado(河圖), Nakseo(洛書), their circular principles, etc. These are important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Hunminjeongeum and Garimto. and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 alphabets.
Believing that Garimto played a leading role in deciding the shapes of the Hunminjeongeum letters, I discuss several research results which prove the existence of Garimto before the period of King Sejong the Great, including the Nokdo(deer-painting) letters and the so-called Japanese Shindae letters.
Concerning the expression Jabanggojeon(字倣古篆: lit. ‘the letter shapes imitate those of old letters’), I suppose that the representative old letters were the Garimto letters. Accordingly, in creating the Hunminjeongeum letters, I conjecture that King Sejong the Great used the following principle: First, after hearing the common conversation, they picked a specific sound and they formed the ‘letter-shape in the mind’, considering the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of the sound. This is a ‘pictogram’(象形) of an abstract object, i.e. an abstract picture in the mind. This process is a creative work, unprecedented in the alphabet history. Thanks to this fact, I think that Hunminjeongeum is a creative work. Second, the letter symbolizing each sound was selected from the existing common writing systems. This is the process of ‘imitation of old letters’(字倣古篆). I believe that Garimto was one of the important old letters.
In order to show that the letters of Hunminjeongeum are closely related to the letters of Garimto, I analyze the two writing systems in terms of the philosophy of Yin(陰)-Yang(陽) and Five-Elements and the Position numbers. Some changes of the order arrangements were explained by the position change of some of the Five-Elements.
After the philosophical examination of Hunminjeongeum and Garimto, I see that these two writing systems are similar in the creation of their letters and the Five-Elements logic. Thus, I believe that the word gojeon in the expression of Jabanggojeon can be Garimto. Even if we admit this, the claim that ‘ Hunminjeongeum was created’ is supported because this is the second part of the ‘creation’ that I defined above. As for the three basic vowels, they were formed in the spirit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Heaven was designed as a circle, Earth as a flat line, and Humanity as a standing line. This idea is a creative work, too. If we admit the existence of commonly used letters before the period of King Sejong the Great, this means that our ancestors used old writing systems in addition to Hanja(Chinese letters) and that we may restore the history of our old letters.
I believe that Hunminjeongeum reflected the patriotism of King Sejong the Great to promote the national sovereignty by establishing a new writing system instead of Hanja. Also he created Hunminjeongeum for the convenience of the people. He hoped that the people would be able to communicate freely with the easy letters. Agreeing with In-Ji Jung (1396-1478), I conclude that Hunminjeongeum is the writing system created by King Sejong the Great.
Keywords philosophical, phonetical, Hunminjeongeum, Garimto, Yin-Yang and Five-Elements, Heaven, Earth, Humanity, Hado, Nakseo, King Sejong the Great, Jabanggojeon, pictogram, writing system, Hanja, national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