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검색

항목 내 용
제목 [국문]

복애伏崖 범장范樟 연구

Subject

“A study on Bokae Beom Jang”

저자 노종상
Author Roh, Jong-sang
발행년도 2016
초록 이 논문은 복애伏崖 범장范樟(? ~ ?)과 그의 저서 『북부여기』에 대한 연구이
다. 범장은 여말선초의 학자이다. 그가 남긴 저서는『화해사전華海師全』, 『화동인문
총기話東人物總記』, 『북부여기北夫餘紀』, 『천부경주해天符經註解』 등이 있다. 그가 활동
했던 시대는 고려가 막을 내리고 조선이 개국한 격변기였다.

범장은 태생적으로 성리학자였다. 금성범씨는 범장의 증조부 범승조가 시조다. 그
는 남송 성리학자다. 그는 성리학 도입에 직접적인 공을 세운 장본인이다. 범장의
부친 후춘은 우리나라 최초의 성리학자로 알려진 안향의 문인이다. 범장은 포은 정
몽주의 제자다. 범장이 과거에 합격하여 관료생활을 시작한 것은 공민왕 대였다. 그
는 덕녕부윤德寧府尹·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의 관직을 지냈다. 그의 관료생활은 순탄하
지 않았다. 한 개인의 자아는 세계 앞에 무력할 수밖에 없었다. 일부 신진사대부 세력
을 끌어들인 이성계 일파에 의해 쿠데타가 일어났다. 5백년 사직의 고려왕조는 무너
졌고 조선이 건국했다.

범장은 조선 개국을 반대했다. 그는 고려조에 충절을 지킨‘두문동杜門洞 72현’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강원도 원주에서 살고 있는 ‘은일의 인사’ 원천석을 만났다. 동지
20여 명과 함께 매년 봄가을로 치악산 정상에서 단군을 위시한 열성조에게 제사를
지냈다. 그리고 동지들과 함께 당대의 역사를 기록하기로 뜻을 모았다. 그 결과물이
바로 범장의 두 권 저서 『화해사전』과 『화동인물총기』다.

우리는 사상적인 면에서 범장의 세 가지 내면풍경을 주목하였다. 성리학자 풍경·우
리 고유의 전통 신앙인 신교적 풍경 그리고 사학자 풍경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우리
가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은 그의 ‘사학자 풍경’이다. 텍스트는 『화해사전』·『화동인
물총기』 그리고 『북부여기』이다. 범장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진 『천부경 주해』는 현
재 전하지 않는다. 범장은 공자의 ‘춘추필법’을 역사철학으로 삼았다. 이 역사철학
을 가지고 그는 상고사서 『북부여기』를 기록했다. 『북부여기』는 우리 역사에서 잃
어버린 부여의 역사를 기록한 기념비적인 저술이다.
키워드 범장, 성리학자, 정몽주, 역사, 춘추필법春秋筆法, 『북부여기北夫餘紀』, 천 보산 사건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Beom Jang (honorific name: Bokae) and his work, the Bukbuyeogi.
Beom Jang was a scholar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His works include the Hwahaesajeon, the Hwadonginmulchonggi, the Bukbuyeogi and the
Cheonbugyeongjuhae.
Beom Jang was a Confucian scholar to the bone. Beom Seung-jo, Beom Jang’s
grandfather, was the progenitor of the Beom family based in Geumseong. A scholar
influenced by the Confucian philosophy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he was the very
person who played a critical role in introducing Neo-Confucianism to Korea. Huchun,
Beom Jang‘s father was a writer also known as the first Confucian scholar. Beom Jang was
a disciple of Jeong Mong-ju (honorific name: Poeun), a famous Confucian scholar and
loyalist in late Goryeo Dynasty. Having started his career as a government offical at the
time of King Gongmin (r. 1351-1374). Beom Jang served in various high-ranking
government posts as including Deoknyeongbuyoun and Ganuidaebu. But his life as a
government official did not go smoothly. Yi Seong-gye, supported by the newly rising
nobility, seized power in a military coup. Eventually, the Goryeo Dynasty collapsed after
lasting almost 500 years, and the Joseon Dynasty followed.
Beom Jang opposed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He was one of the 72 loyalists of the
Goryeo Dynasty who led a life of seclusion in Dumun-dong village. Beom Jang met Won
Cheon-seok living in Wonju, Gangwon-do Province. He and his like-minded people
performed ancestral rites at the top of Mt. Chiak every spring and fall to commemorate
Dangun. And they resolved to create a historical work with one accord, which resulted in
Beom Jang’s two books, the Hwahaesajeon and the Hwadonginmulchonggi.
This study focuses on three aspects of Beom Jang’s life s : a confucian scholar, Korean
traditional religion and a historian. The sources of the study are Beom Jang’s books –
the Hwahaesajeon, the Hwadonginmulchonggi and the Bukbuyeogi. The
Cheonbugyeongjuhae, a work known to have been compiled by Beom Jang, is no longer
in existence. When it comes to writing historical works, Beom Jang followed
Confucius’ way of describing history (writing tersely and objectively, ruling out
personal feelings and interests just as he compiled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The
Bukbuyeogi, a product of such a scholarly attitude, is a monumental book recording the
history of Buyeo, the missing link in Korean ancient history.

Key words ; Beomjang, Confucian scholar, Mong-Ju Jeong, History, Chunchupilbeop,
Bukbuyeogi, The event at Mt.Cheonbo
Keywords Beomjang, Confucian scholar, Mong-Ju Jeong, History, Chunchupilbeop, Bukbuyeogi, The event at Mt.Cheonbo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