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단고기桓檀古記 진서고眞書考(I) (윤창렬)
세계환단학회 창립기념 학술회의에서 발표한 논문입니다.
=============
환단고기桓檀古記 진서고眞書考(I)
Ⅰ. 서론
환단고기가 이 땅에 나온 지 어언 100년의 세월이 흘렀고 이것이 대중화 된지도
이미 30여년 이상의 시간이 지나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중화주의 사관에 의
해 쓰여진 사서의 망령에 사로잡히고 일제 식민주의 사관의 굴레를 벗지 못한 강단의
사학자들은 유치한 궤변을 늘어놓으며 환단고기가 위서라는 주장을 끊임없이 되풀
이 하고 있다.
환단고기桓檀古記는 계연수桂延壽가 이전부터 전하여 오던 5종류의 책을 합편合編
한 것이다. 이 책은 우리 민족의 찬란했던 상고역사를 밝혀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종교와 철학 문화까지도 밝혀 주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인류의 시원역사와 원형
문화까지도 밝혀주고 있는 지보지서至寶之書이다.
계연수는 안함로安含老가 지은 삼성기三聖記, 元董仲이 지은 삼성기, 이암이 지은
단군세기檀君世紀, 范樟이 지은 북부여기北夫餘紀, 그리고 이맥李陌 이 지은 태백일
사太白逸史의 다섯 권의 책을 합본하여 환단고기를 편찬하였다.
여기에 언급된 다섯 명의 인물들은 모두 역사에 실존했던 사람들이다. 안함노(서기
579~640)는 신라 진평왕 때의 도승으로 각훈覺訓이 지은 해동고승전에 그의 생애
가 기록되어 있으며 신라 십성十聖의 한분으로 받들어진 분이다. 고려 때의 인물로 비
정되는 원동중의 자세한 행적은 전해지지 않지만 세조실록世祖實錄 3년(서기 1457)
조에 8도 관찰사에게 유시諭示한, 책을 수집하여 올리라는 수거령 속에 안함노·원동
중삼성기安含老·元董仲三聖記라는 말이 나오므로 이 두 사람이 지은 삼성기가 조선
시대 초기에 세상에 전하여 왔다는 것을 확증할 수가 있다.
이암(서기 1297~1364)은 고려 말의 명신으로 고려사 열전 24에 전기가 실려
있다. 단군세기에는 그가 강화도의 해운당海雲堂에서 단군세기 서문과 단군세기
를 썼다고 두 군데서 언급하였는데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쓴 묘지명墓誌銘에서도 “선원
리의 식영息影 노인과 속세를 떠난 벗으로 삼고 절 안에 집을 지어 해운이라 현판을 걸
었다.(與禪源息影老人으로 爲方外友하고 築室寺中하야 扁曰海雲이라.)1)하여 그가 말년에
강화도의 해운당에 머물렀음이 확인되고 있다.
- -2014_창립기념논문집-환단고기 眞書考(1)-윤창열.pdf (1.4MB) (451)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8 | 세계환단학회 학술자료집 2022 추계(PDF 파일) | 세계환단학회 | 379 | 2022.12.21 |
7 | 세계환단학회 학술자료집 2021 추계(PDF 파일) | 세계환단학회 | 510 | 2021.11.30 |
6 | 2021 대한사랑·세계환단학회 국제학술문화제 자료집 [2] | 뉴잭스윙선비 | 346 | 2021.11.01 |
5 |
세계환단학회 학술자료집 2020 추계 (PDF 파일)
![]() |
세계환단학회 | 955 | 2020.12.03 |
4 |
신시의.. 5사조직임을 통해 본 환단고기의 진실성 - 이강식
![]() |
세계환단학회 | 1523 | 2016.01.28 |
>> |
환단고기桓檀古記 진서고眞書考(I) (윤창렬)
![]() |
세계환단학회 | 2221 | 2014.08.29 |
2 |
조개화폐 발굴과 단군세기 기록의 사료적 가치 재평가(김연성 외)
![]() |
세계환단학회 | 1707 | 2014.08.28 |
1 |
환단고기와 한국 고대사의 복원 (오순제)
![]() |
세계환단학회 | 2905 | 2014.08.28 |